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리학10

자극을 받아 성장하는 말파리 효과 자극을 받아 성장하는 말파리 효과 말파리한테 물리면 엄청난 통증과 자극이 있습니다. 게으른 말이 말파리 한테 물리면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엄청나게 빨리 달립니다. 이를 말파리 효과라고 합니다. 말파리 효과 위에서 설명했듯이 자극(통증)을 받아서 엄청 빨리 달리는 것을 말파리 효과라고 했습니다. 다른말로 하면 즉, 사람도 물고 쏘는 자극이 있어야 해이해지지 않고 노력하여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뜻합니다. 아브라함 링컨 ”뜬금없이 아브라함 링컨이 왜 나와?“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말파리 효과는 링컨의 경험에서 나왔습니다. 아브라함 링컨은 어렸을 때 켄터키 고향의 한 옥수수 농장에서 자랐습니다. 옥수수밭에 가는데 게으름을 피우는 말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은 천천히 걷는 말이 갑자기 빠르게 내.. 2022. 11. 18.
합리적 목표 설정의 중요성 – 로크 법칙 합리적 목표 설정의 중요성 – 로크 법칙 인생을 살면서 좀 더 높은곳에 도달하기 위해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 목표가 너무 터무니 없이 높으면 있으니 만 못합니다. 이를 로크 법칙이라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로크 법칙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로크 법칙 위에서 설명하듯이 목표를 설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목표가 미래지향적이고 도전적일 때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난다는 목표 설정 이론을 로크법칙이라고 합니다. 목표는 말도 안되게 너무 높거나, 비현실적이지 않아야 합니다. 즉, 목표는 높아야 하지만 동시에 합리적이어야 합니다. 로크 법칙을 만든 사람 로크 법칙을 만든 사람은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심리학 교수 에드윈 로크입니다. 그는 1868년에 목표 설정 이론을 .. 2022. 11. 17.
사후 확신 편향 - “나는 니가 그럴줄 알았어” 사후 확신 편향 - “나는 니가 그럴줄 알았어” 친구와 지인과 대화하다보면 “에휴 나는 니가 그럴줄 알았어”라는 말을 한번은 들어봤을 것입니다. 이를 사후 확신 편향이라고 하는데 점쟁이도 아니고 어떻게 진짜 그럴줄 알았을까요? 이번 포스팅은 사후 확신 편향 포스팅입니다. 사후 확신 편향 사후 확신 편향은 사후 과잉 확신 편향, 사후 확증 편향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사후 확신 편향은 어떤 일의 결과를 알고나서, 그 일이 일어날 거라고 처음부터 알고있었다는 듯이 말하고, 믿는 사람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즉, 미리 예언하거나 예지하는게 아닌 이미 다 지나서 결과가 도출된 일들을 미리 알고있었다는 듯이 믿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뒷북 효과라고도 합니다. 사후 확신 편향 사례 사후 확신 편향 사례는.. 2022. 11. 17.
“다른 사람 생각도 나와 같을까?“ 허위 합의 효과란 “다른 사람 생각도 나와 같을까?“ 허위 합의 효과란 친구나 지인과 대화나 논쟁을 하다보면 ”내 말이 맞다니깐, 지나가는 사람한테 물어봐“ 라는 말을 하거나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를 허위 합의 효과라고 합니다. 허위 합의 효과 위에서 말했듯이 내 의견이 맞고, 지나가는 아무한테나 물어봐도 내 의견이 맞다고 할거라는 것이 허위 합의 효과입니다. 즉, 자신의 생각이나 말이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된다고 생각하며, 다른 사람들도 나와 같은 의견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 추측하는 오류를 말합니다. 친한 관계 그렇다면 허위 합의 효과는 어떤 사람한테 잘 나타날까요? 소제목에서 말했듯이 친한 관계에서 허위 합의 효과가 더 잘 나타난다고 합니다. 친한 유대 관계가 형성된다는 거의 기본적으로 나와 같은 생각, 같.. 2022. 11. 16.
긍정적인 환상에 빠지는 통제의 환상은 무엇일까? 긍정적인 환상에 빠지는 통제의 환상은 무엇일까? 로또를 구매할 때 자동으로 구매하는 것 보다 수동으로 번호를 지정해 구매하는 행동으로 인해 로또에 당첨 될 것이라고 믿는 것이 통제의 환상입니다. 통제의 환상 통제의 환상이란, 자기 자신이 외부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현상입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로또 이야기처럼 객관적인 외부 환경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만들어 갈 수 있다고 착각하는 개인의 심리적 상태입니다. 개인주의 통제의 환상은 개인주의가 강한 사람한테 특히 더 많이 나타납니다. 개인주의가 강한 사람들은 외부환경에 일어난 사건들의 통제력이 본인에게 있다고 믿으면서 주변을 통제하려 하기 때문입니다. 양면성 통제의 환상으로 인해서 자신에 대한 평가를 객관적으로 할 수 없게됩니다. 이로 인해 섣부른 .. 2022. 11. 14.
악어의 법칙에 대해 알아보자 악어의 법칙에 대해 알아보자 악어가 발을 물었을 때, 손을 써서 빠져나오려고 한다면 악어는 손과 발을 물어버릴것 입니다. 악어가 발을 물었을 때 빠져나오는 방법은 한쪽 발을 포기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악어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악어의 법칙이란 위에서 설명했듯이, 발을 물렸을 때 손을 써서 나오려고 하면 악어에게 노출되는 범위가 더 커져서 손과 발을 둘다 잃을 수 있습니다. 이를 악어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즉, 다리를 잃고 생명을 구한 것처럼 잘못 판단했을 때 즉시 빠져나와야 더 큰 희생을 피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장폴사르트르의 인생명언 프랑스 작가인 장폴사르트르는 “인생은 B(Birth 생명)와 D(Death 죽음) 사이의 C(Choice 선택)가 있다”라는 명언을 남겼습니다. 이는 생명과 죽음 .. 2022. 11. 10.
첫인상을 결정짓는 초두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첫인상을 결정짓는 초두 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사람을 만날때 처음 3초의 이미지가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된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겁니다. 이 현상이 바로 초두 효과입니다. 초두효과란 앞서 말했듯이 첫 이미지가 그 사람에 대한 인식이 되는것입니다. 다른 정보가 더 들어와도 첫 이미지가 강력하게 기억에 남는다는 뜻입니다. 즉, 여러개의 정보가 제시되었을 때 처음 나온 것을 잘 기억하는 현상입니다. 뭐가 첫인상에 좋은 기억으로 남을까? 우리의 뇌는 0.1초도 안되는 극히 짧은 시간에 상대방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도를 평가합니다. 호감도와 신뢰도를 평가한 후 짧으면 3초에서 길면 15초 동안에는 다른 정보들을 모읍니다. 첫인상은 외모, 분위기 등의 다양한 요소에 의해서 결정이 됩니다. 그 중에서도 외모, 목소.. 2022. 11. 10.
내 탓은 니 탓? 이기적 편향에 대해 알아보자 내 탓은 니 탓? 이기적 편향에 대해 알아보자 이기적 편향은 뭘까요? 요즘같은 취업난에 취업을 실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 내가 못 한건 없지만 취업이 안된건 세상이 문제다 라고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기적 편향 앞서 말했듯이 내탓은 없고 다 남의 탓이라고 하는게 이기적 편향입니다. 즉, 자신에게 유리하게 사고하는 방식으로 성공하면 내가 잘한거고(내부적 요인), 실패하면 환경, 상황(외부적 요인) 으로 원인을 돌리는 현상입니다. 왜 이런 사고방식이 생겼을까? 이기적 편향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자신의 자존감을 방어하고 높이기 위해서 생긴 욕구입니다. 입장에 따라 태도가 바뀌는 것이 사람입니다. 하던 일이 실패하고 잘 안되면 적절히 자기 탓과 남 탓을 섞어서 자존감을 높이면서 보호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될.. 2022. 11. 10.
남들을 따라하게 되는 양떼 효과 남들을 따라하게 되는 양떼 효과 사람들은 누구나 무리에서 떨어지거나 외톨이가 되는 것을 싫어합니다. 그래서 무리를 따라하게 되는데 이를 양떼효과라고 합니다. 양떼 효과란? 양떼 효과란 무리나 집단에서 뒤처지지 않기위해 어쩔 수 없이 집단이나 무리의 행동을 따라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양떼 효과의 예시로는 유행하는 브랜드를 따라 구매하거나, 주식같은 경우에는 주가가 상승할 때 더 오를 것이라 기대하고 매수하거나, 주가가 하락할 때 더 내려갈 것이라 생각하고 매도하는 경우도 양떼 효과라 할 수 있습니다. 왜 양떼 효과야? 양들은 무리를 지어서 다닙니다. 여기서 어느 한 양이 선두에서 지휘하게 되면 다른 양들은 모두 우두머리 양을 따라가게 됩니다. 선두에 있는 양이 이상하게 점프를 해도 이를 뒤따라.. 2022. 11. 10.
반응형